💼 급여 종합 계산기

연봉 실수령액, 시급 계산, 퇴직금, 연봉협상까지 종합 분석

세율 정보 확인 중...

📊 연봉 정보 입력

연봉을 입력하면 월급으로 자동 계산됩니다

2025년 기준 최대 240만원까지 가능

본인 + 배우자 + 부모님 + 자녀 등

자녀세액공제 대상 (추가 공제 혜택)

💰 계산 결과

세율 데이터 로딩 중...

📋 정확한 세율표 기준 계산

이 계산기는 연말정산 기준의 정확한 세율표를 사용합니다.간이세액표를 사용하는 일반 급여 시스템과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소득세 계산: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방식 사용

연말정산 예상 결과: 실제 연말정산 시 받을 금액과 거의 일치

2025년 최신 세법: 국세청 고시 기준 최신 세율표 적용

⚠️ 다른 계산기와의 차이점

네이버 등 간이세액표 계산기와 약 6%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이는 계산 방식의 차이로 인한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 현재 사이트 (정확한 계산)

  • • 2025년 세율표 직접 적용
  • • 연말정산과 동일한 방식
  • • 정확한 공제액 계산
  • • 투명한 계산 과정

📋 간이세액표 방식

  • • 2024년 3월 간이세액표
  • • 대략적인 계산
  • • 월급 기준 세액
  • • 간편 계산 도구

💡 권장사항: 연말정산 준비나 정확한 세후소득 파악에는 현재 사이트의 계산 결과를 참고하세요.

💡 급여 종합 계산기 사용 가이드

📊 계산 방식

  • • 2025년 최신 세율표 적용
  • • 근로소득공제 자동 계산
  • • 부양가족 공제 반영
  • • 4대보험료 정확한 계산
  • • 연말정산 기준 세액 산출

🎯 활용 팁

  • • 비과세액은 연봉의 5-10% 정도
  • •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세금 절약
  • • 월급⇄연봉 전환으로 편리하게 계산
  • • 연말정산 준비에 활용 가능
  • • 세후 실수령액 예상 가능

⚠️ 주의사항

  • • 월급과 차이날 수 있음 (간이세액)
  • • 연말정산 시 추가 공제 반영
  • • 중간정산, 퇴직소득 제외
  • • 실제 급여는 회사 정책에 따름
  • •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세요

급여 계산기란 무엇인가요?

급여 계산기는 월급여액이나 연봉을 입력하면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과 소득세(근로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실제 수령하게 되는 실수령액을 정확하게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연봉 협상 시 세전 금액만 확인하고, 실제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이 얼마인지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여 계산기를 사용하면 4대보험료와 세금을 미리 확인하여 실제 가처분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유용합니다

  • • 입사 예정자로 실제 수령액을 미리 계산하고 싶은 분
  • • 연봉 협상 시 실수령액을 비교하고 싶은 직장인
  • • 이직을 고민하며 급여를 비교하는 분
  • • 프리랜서에서 정규직 전환을 고려하는 분
  • • 월세, 대출 등 고정 지출 계획을 세우는 분

급여 계산 방식 및 공식

2025년 4대보험 요율

보험근로자 부담률비고
국민연금4.5%기준소득월액 기준
건강보험3.545%보수월액 기준
장기요양보험12.95%건강보험료의 12.95%
고용보험0.9%보수총액 기준

※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12.95%를 곱하여 계산됩니다.

2025년 근로소득세 과표 구간

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액
1,400만원 이하6%-
1,400만원 ~ 5,000만원15%126만원
5,000만원 ~ 8,800만원24%576만원
8,800만원 ~ 1.5억원35%1,544만원
1.5억원 ~ 3억원38%1,994만원
3억원 ~ 5억원40%2,594만원
5억원 ~ 10억원42%3,594만원
10억원 초과45%6,594만원

※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가 별도로 부과됩니다.

비과세 항목

다음 항목은 근로소득세 계산 시 과세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식대: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2025년 기준)
  • 자가운전보조금: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 육아수당: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 생산직 근로자 야간근로수당: 월 240만원까지 비과세
  • 연구보조비: 월 20만원까지 비과세

비과세 항목은 4대보험 산정 기준에는 포함되지만, 소득세 계산 시에는 제외됩니다.

사용 방법

1단계: 계산 기준 선택

월급여 기준 또는 연봉 기준 중 선택합니다. 연봉을 12개월로 나눈 금액이 월급여입니다.

2단계: 급여액 입력

세전 월급여 또는 연봉을 입력합니다. 입사 제안서나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3단계: 비과세 항목 입력

식대, 자가운전보조금, 육아수당 등 비과세 항목을 입력합니다. 이 금액은 소득세 계산 시 제외되어 실수령액이 증가합니다.

4단계: 부양가족 수 입력

본인 포함 부양가족 수를 입력합니다.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공제액이 증가하여 실수령액이 늘어납니다.

5단계: 결과 확인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그리고 최종 실수령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실제 사용 예시

시나리오 1: 신입 직장인 (연봉 3,000만원)

입력값:

  • • 연봉: 3,000만원 (월 250만원)
  • • 비과세 (식대): 월 20만원
  • • 부양가족: 1명 (본인)

결과:

  • • 국민연금: 약 11만 2천원
  • • 건강보험 + 장기요양: 약 10만원
  • • 고용보험: 약 2만 2천원
  • •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3만 5천원
  • 실수령액: 약 223만원

신입 직장인의 경우 공제 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어 실수령률이 약 89% 수준입니다.

시나리오 2: 중견 직장인 (연봉 5,000만원)

입력값:

  • • 연봉: 5,000만원 (월 약 417만원)
  • • 비과세 (식대): 월 20만원
  • • 부양가족: 3명 (본인 + 배우자 + 자녀 1명)

결과:

  • • 국민연금: 약 18만 8천원
  • • 건강보험 + 장기요양: 약 16만 7천원
  • • 고용보험: 약 3만 7천원
  • •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12만원
  • 실수령액: 약 366만원

부양가족 공제로 인해 소득세가 감소하여 실수령률이 약 88% 수준입니다.

시나리오 3: 고연봉 직장인 (연봉 8,000만원)

입력값:

  • • 연봉: 8,000만원 (월 약 667만원)
  • • 비과세 (식대 + 자가운전): 월 40만원
  • • 부양가족: 4명 (본인 + 배우자 + 자녀 2명)

결과:

  • • 국민연금: 약 30만원
  • • 건강보험 + 장기요양: 약 26만 7천원
  • • 고용보험: 약 6만원
  • •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45만원
  • 실수령액: 약 559만원

고소득자의 경우 누진세율 적용으로 소득세 부담이 증가하여 실수령률이 약 84% 수준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가 왜 이렇게 크나요?

연봉은 세전 금액이며, 4대보험료(약 9%)와 소득세(근로소득세 + 지방소득세)가 공제됩니다. 일반적으로 실수령액은 연봉의 85~90% 수준이며, 연봉이 높을수록 누진세율 적용으로 실수령률이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연봉 3,000만원은 약 89%, 8,000만원은 약 84% 수령합니다.

Q2. 비과세 항목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은?

회사와 협의하여 급여 중 일부를 비과세 항목으로 받으면 소득세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식대(월 20만원), 자가운전보조금(월 20만원), 육아수당(월 20만원)을 모두 활용하면 월 6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4대보험료는 비과세 항목 포함하여 계산되므로 보험료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Q3. 4대보험은 왜 내야 하나요?

4대보험은 사회보장제도로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국민연금은 노후 대비, 건강보험은 의료비 지원, 고용보험은 실업급여 및 육아휴직 급여, 장기요양보험은 노인 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하며, 미래의 나를 위한 필수적인 투자입니다.

Q4. 연말정산 환급금은 언제, 얼마나 받나요?

연말정산은 매년 1월에 진행하며, 환급금은 2월 급여와 함께 지급됩니다. 신용카드 사용액,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각종 공제를 통해 환급받을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50~100만원 정도 환급받습니다. 다만 공제 항목이 적으면 오히려 추가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Q5. 중도 입사자의 급여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중도 입사 시에는 근무일수에 비례하여 월급여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 300만원이고 해당 월 근무일수가 22일 중 15일만 근무했다면, (300만원 / 22일) × 15일 = 약 204만원을 지급받습니다. 4대보험과 소득세도 이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관련 법령 및 참고자료

근로 및 사회보험 관련 법령

참고 자료

이 계산기를 사용하신 분들은 이런 계산기도 사용했어요